[출근길 인터뷰] 위로받고 싶을 때 '반려돌'…인기 이유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돌멩이는 무생물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요즘 이 무생물인 돌멩이를 통해 안정감을 느낀다며 옆에 두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일명 '반려돌' 인데요.<br /><br />'반려돌'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이유, 왜 우리는 돌멩이에 위로를 받는 건지, 뉴스캐스터 연결해 돌멩이와의 교감, 지금 바로 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강수지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저는 지금 제 반려돌 건강이와 함께 나와 있습니다. 오늘은 돌과 사람에 대한 교감을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신 신정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만나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세요?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곳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떤 곳일까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분야입니다. 학부 과정은 없고 대학원 과정은 있습니다.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많은 지원 부탁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반려동물 열풍이 불고 있는데 반려돌이란 무엇일까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반려돌은 이름 그대로 친구 같은 돌입니다. 요즘 반려자, 반려동물, 반려식물 하잖아요. 그리고 반려돌도 좋고 요즘 사람들은 애완이란 말은 안 좋아하는데 살다 보면 쉬면서 장난치고 싶은 그런 때도 있잖아요. 그래서 저는 반려동물도 좋고 애완돌도 좋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교수님, 어떻게 사람과 돌에 대한 교감을 논문으로 쓰실 생각을 하셨나요. 특별한 계기가 있으실까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옛날 선비들의 글을 보면 돌한테 말을 걸고 소통하는 게 보이더라고요. 저희들 어릴 때 보면 나무야 안녕, 그렇게 얘기를 하는데 어른이 되면서 사물하고 소통을 안 하잖아요. 근데 조선시대 문인들은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나무, 돌하고 소통하는 게 신기해서 그래서 연구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온라인에서 돌 씻는 영상의 조회 수가 900만 회를 넘었다고 합니다. 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돌을 애지중지하고 있는데요. 이렇게 반려돌 열풍 현상,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저도 반려돌 열풍 영상을 보고 놀랐습니다.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한데요. 컴퓨터 앞에 오래 앉아 있으면서 그 옆에 돌을 두고 싶은 그런 생각도 들 수 있을 테고, 또 저희가 요즘 가성비란 말을 많이 하는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이렇게 보살피기도 쉬우니까 그런 장점도 있고요.<br /><br />그리고 사람하고 소통하고 좋아하는 게 가장 좋지만 사람한테 상처받는 경우도 있잖아요. 그리고 저도 개를 키워봤지만 반려동물 죽었을 때 엄청 울었습니다. 그런 것들에 비하면 반려돌은 그런 위험은 없고요.<br /><br />마지막으로 저는 물성, 돌의 단단함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는데 저도 지금 이렇게 웃으면서 인터뷰하고 있는데, 살다 보면 힘들 때가 많잖아요. 저는 단단한 돌을 보고 만지면서 그러면서 제가 힘을 얻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한편 우리나라의 반려돌 열풍 현상을 외신에서는 과로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고 합니다. 이러한 현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한국 사람들은 일 많이 하는 걸로 유명하잖아요. 분명히 그런 과로, 피로로 인해서 거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반려들 문화가 생긴 것 같고요. 저는 조금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, 그러면 한국은 원래부터 과로사회였습니다. 그런데 왜 이 시점에서 반려돌 문화가 유행했을까. 저는 인간주의, 인간 중심주의에서 탈휴머니즘, 사람을 벗어나서 자연, 사물과 소통하는 이러한 생각이 점점 확산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스트 휴머니즘에서 반려돌 문화를 볼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런데 사람과 돌에 대한 교감이 오늘날에서야 일어난 게 아니라고 들었습니다. 과거에도 일어났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문헌으로 보면 그 이전에도 있었을 테지만 이제 고려시대부터 나타나고요. 조선 시대에 점점 발달하고 19세기 오면은 수석 문화, 괴석문화가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교수님도 아끼는 반려돌을 가지고 계실까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연구실에서 제가 좋아하는 반려돌들을 가지고 왔습니다. 다 소개하기는 힘들고 딱 하나만 소개한다면 이 돌은 이제 랩을 싸서 예쁘죠? 미국에 사는 형님께서 저한테 보내주신 건데 이 돌을 보면서 같이 공부하고 운동하고 그때 한창 중국어로 공부해서 '따꺼(형님)'라고 불렀어요. 그러던 시절을 생각하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반려돌을 키우는 시청자분들께 한말씀해 주신다면요.<br /><br />[신정수 /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]<br /><br />제가 지금 이 돌을 소개로 드린 것처럼 매장에서 반려돌을 구입할 수도 있지만 직접 산에 가서 찾고, 그리고 찾은 것을 선물하고 선물받고 그러면 그게 훨씬 더 의미가 있고 스토리텔링도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